6일, 조광한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우리시가 신청한 진건하수처리시설 3만톤 증설, 호평·평내 하수처리시설 4만1천톤 신설, 지금하수처리시설 2만9천톤 증설 등 총 10만톤 신·증설, 자원순환단지 내 하수슬러지 처리시설 290톤 신설 등의 내용을 담은 ‘남양주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부분변경'을 환경부가 승인한 거라며 이같이 전했다.
그러면서 우리시는 3기 신도시 등 대규모 택지개발로 인해 2030년 인구 100만을 내다보고 있지만, 현재의 하수처리시설로는 인구 100만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도저히 처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특히 왕숙1, 왕숙2, 진접2, 양정역세권 등 대규모 택지개발을 비롯해 평내4지구, 센트럴 N49, 종합병원 등 대규모 지역개발사업이 이미 추진 중이거나 계획돼 있어 환경기초시설 확충이 절실히 요구되었다고 전했다.
현재 호평·평내에서 발생하는 하수는 진건푸른물센터에서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최상류에 위치한 도시의 특성과 25년 된 노후 하수관 등으로 하수처리구역 분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지난 2013년부터 경기도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에 호평·평내푸른물센터 신설계획이 반영됐지만 환경부를 상대로 한 지역주민의 민원으로 최근까지 승인에 난항을 겪어 왔다고 말했다.
이번 환경부 승인으로 그동안 하수처리시설 용량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던 지역개발사업 추진이 탄력을 받고, 호평·평내 하수처리시설 신설을 둘러싼 이견이 해소되기를 소망해 본다고 덧붙였다.
조광한 시장은 호평·평내 지역의 하수처리시설 신설 후보지는 4곳이 검토되고 있는데, 최종입지는 지역주민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확정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하수처리의 여유 용량은 도시개발,도시발전과 직결된다. 도시전체의 발전을 위해 최대한으로 승인받으려는 전략을 환경부와 협상도 하기 전에 LH의 입장을 먼저 제시하는 태도는 공동체의 이익을 심각하게 해치는 행위라고 말했다.
LH가 제시한 계획은 7만8천톤으로 우리시 계획보다 2만2천톤이나 적게 제출됐는데, 사업부지까지 포함하면 LH가 원인자 분담금을 1,150억원이나 적게 납부하겠다는 뜻이라고 전했다.
또한 환경기초시설 설치는 정치적 영역이 아니다. 어느 지역에 소각장을 설치하고, 하수처리장을 설치하는 것을 정치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우리시 공동체의 최대이익과 경제성, 효율성, 미래세대의 몫까지 철저하게 반영해서 결정돼야 한다. 앞으로도 우리시 전체가 구조적으로 연결되는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locallife@locallife.news
[저작권자ⓒ 로컬라이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