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정동균 양평군수,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에 따른 군민 당부사항 언론브리핑

송준형 기자 / 기사승인 : 2022-01-29 11:48:51
  • -
  • +
  • 인쇄

사진/정동균 양평군수(사진제공=양평군)

 

 사랑하고 존경하는 12만 양평 군민여러분과
언론인 여러분, 안녕하세요! 양평군수 정동균입니다.

 오늘의 영상 브리핑은 설 명절을 앞두고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거세짐에 따라
우리군의 코로나19 관련 현황 및 추진사항과
몇가지 당부드릴 사항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하였습니다.

 최근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본격화되며
28일 현재 국내 신규확진자는 16,096명이 발생하였고,
양평군의 신규 확진자는22명이 발생하여
관내 누적확진자는 총 1,918명이며,
3차까지 예방접종자는 총 71,364명으로
우리군 인구대비 접종률은 59.2%입니다.

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확대되며,
26일부터 정부는 오미크론 대응체계에 돌입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우리군도 두 가지 사항이 변경되게 됩니다.

 먼저, 백신 접종완료자의 경우 확진시 격리 기간이 기존 10일에서 7일로 단축되며, 밀접접촉자의 경우 자가격리가 면제됩니다.

 여기에서 접종완료자란, 3차접종자와
2차 접종후 14일 경과하고 90일이 지나지 않은 사람을 말하며, 이에 해당되지 않는 접종 미완료자의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10일의 격리기간이 적용됩니다.

 다음은 코로나19 진단검사인
유전자증폭(PCR)검사 대상자가 조정됩니다.

 2월 3일부터 기존 누구나 검사 가능했던 PCR검사를
60세이상 고령층, 밀접접촉자 등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만 시행하게 되며, 그 외 일반군민은 신속항원검사나 자가검사키트에서 양성이 나왔을 경우에만 PCR검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이와 함께, 우리군은 설명절 연휴 기간동안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하여 코로나특별방역대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 선별 진료소를 연휴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요양병원, 요양원 등의 취약시설 종사자에 대한
선제 검사 등을 통하여 더 철저한 예방관리를 추진하며,
연휴기간 지정된 의료기관과 약국을 상시로 운영 할 계획입니다.

 양평군 코로나19 상황실 방역반은
관광지, 전통시장 등의 예방적 방역소독을 강화하고 24시간 비상방역근무를 통해 확진자 동선에 대한 신속 방역 소독을 실시합니다.

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를 위한 방역패스 운영관리, 철저한 재택치료자 모니터링, 신속한 확진자 관리 및 역학조사를 통하여 바이러스를 예방하고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겠습니다.

 확산세가 강력한 오미크론의 영향으로 확진자가
하루하루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그리운 고향, 보고 싶은 가족, 형제들을 만나지 못해 서운하고 아쉽겠지만,
설 연휴 지역 간 이동량 급증으로 확진자가 폭증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 내 가족, 부모형제의 건강을 위하여 고향방문과 여행을 최대한 자제하여 주시길 간곡히 당부드리며,
불가피하게 방문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접종완료 후
고향을 방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또한, 연휴기간 불요불급한 모임을 자제하여 주시고, 예방접종은 코로나19로부터 본인과 가족, 타인을 보호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인 만큼
아직 예방 접종을 하지 않으신 분들은 반드시 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가족과 주변 분들을 세심하게 살펴봐 주시기 바랍니다.

 6명 이상 사적모임 금지와 다중이용시설에서의 마스크 착용, 소독 등 방역수칙 역시 철저히 지켜주시기 바라며, 인후통,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최대한 빨리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아주시기 바랍니다.

 코로나19로 너무도 힘들고 어려운 상황이지만,
2022년 임인년 힘이 넘치고 열정적인 흑호랑이의
기운을 받아 군민여러분과 함께 이 어려움들을
극복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늘 가득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기원드립니다.

 

natimes@naver.com

 

[저작권자ⓒ 로컬라이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JOY

PEOPLE

ECONOMY

LIFE STOR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