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배영숙 지역소멸 대응 특별위원회 위원장(앞줄 오른쪽에서 네 번째)과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앞줄 오른쪽에서 다섯 번째) 등 정기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출처=김진경 페이스북) |
[로컬라이프] 김민정 기자 =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지역소멸 대응 특별위원회 제2차 정기회'가 24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정기회에서는 청년인구 유입을 위한 주택구입자금 이자 지원에 대한 안건 논의와 '생활인구 제도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주제로 이원도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의 맞춤형 생활인구 활성화 전략에 대한 특강이 진행됐다.
특강에 이어, 지난 회의 시 중점 논의 과제로 채택된 생활인구와 관련해 생활인구를 반영한 지방교부세 배분 개편 및 추가적인 지원확보를 위한 입법활동에 대한 집중 토론도 이어졌다.
이 자리에서 배영숙 위원장은 "지역소멸은 단기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지만 정부와 지역사회가 함께 노력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한다면 지역 경제를 회복하고 인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특위 차원에서 지방의 목소리를 가감 없이 정부와 지자체에 전달하는 소통 창구 역할을 열심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정기회를 주관한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빠르게 진행되는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위기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도내 일부 시·군 역시 지역소멸의 위협에서 자유롭지 않다"며 "이 문제의 해결은 결코 정부만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역의 현실을 가장 잘 아는, 그리고 주민들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지방의회가 중심이 돼야 한다"며 "각 지방이 서로 협력하고 지역에 맞는 실효성 있는 정책을 안착시켜 간다면, 지역소멸 문제 또한 해결에 큰 진전을 이룰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한편, '지역소멸 대응 특별위원회'는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산하에 광역의회 의원 17명으로 구성된 특별기구로 지역소멸 대응 정책 개발 및 대정부 건의, 관련 제도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가고 있다. 지난 6월 말 제1기 위원회 활동을 마무리하고, 새롭게 제2기 위원회를 구성했다.
locallife@locallife.news
[저작권자ⓒ 로컬라이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